엔터 ETF 추천, KPOP에 투자하고 싶다면 주목!

K-POP, 한류, 콘텐츠 산업의 글로벌 인기가 날로 높아지는 가운데, 주식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엔터 ETF’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엔터 ETF란 도대체 무엇이며, 어떤 종목에 투자하고, 수익률이나 배당, 수수료는 어떤지, 그리고 투자 시 주의할 점은 무엇인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엔터 ETF란?

‘엔터 ETF’란 엔터테인먼트 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를 의미합니다. 주로 하이브, JYP, SM, YG 같은 K-POP 기획사, 혹은 콘텐츠 제작사·방송사·팬 플랫폼 기업이 포함되어 있죠.

ETF는 특정 테마나 지수를 추종하는 주식처럼 거래 가능한 펀드입니다. 개별 엔터주를 하나하나 사지 않고도, ETF 하나만 사면 엔터 산업 전체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왜 지금 엔터 ETF가 주목받나?

첫째, 엔터 ETF가 관세 정책 리스크를 피할 수 있는 ‘안전한 대체 투자처’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입니다.

자동차, 반도체, 철강 등 전통적인 제조업 중심의 수출 기업들이 관세 부담을 직접적으로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런 산업군에 투자된 ETF들은 자연스럽게 변동성과 리스크가 높아질 수밖에 없죠.

그에 반해, K-POP을 중심으로 하는 엔터 산업은 관세의 영향이 거의 없습니다. 왜냐하면 음원, 영상 콘텐츠, 유튜브 수익, 팬 플랫폼 등 디지털 수출 구조가 중심이기 때문입니다. 물리적인 제품 수출이 아니라 콘텐츠 소비와 구독, 온라인 팬 활동에서 수익이 발생하므로 관세를 부과할 수 있는 구조 자체가 아닌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투자자들은 제조업 중심 ETF에서 빠져나온 자금을 ‘엔터 ETF’로 옮기고 있는 상황입니다.

둘째, BTS 멤버들의 복귀 영향도 있습니다.

하이브를 중심으로 한 실적 반등 기대감, 그리고 중국에서의 한한령 해제 조짐이 맞물리면서 K-POP 산업 전반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이 투자심리를 더욱 자극하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엔터 ETF는 관세와 같은 글로벌 무역 리스크에 상대적으로 안전하면서도, 고성장이 기대되는 테마로서 시장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것입니다.

국내상장 엔터 ETF 2종목 살펴보기

그렇다면 어떤 종목에 투자하면 될까요? 엔터 ETF에 투자하고 싶다면, 대표적으로 다음 두 가지 종목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ETF 이름특징주요 종목
ACE KPOP포커스4대 기획사 집중하이브, JYP, SM, YG
HANARO K-POP&미디어K-POP+팬플랫폼+미디어하이브, 디어유, CJ

1️⃣ ACE KPOP 포커스

‘ACE KPOP 포커스’ ETF는 에스엠, 하이브, JYP, YG, 큐브 등 국내 유명 기획사 주식을 포함하고 있는 대표적인 엔터 관련 ETF입니다.

2024년 1월 상장하여 역사는 그리 오래 되지 않았습니다만 1년 수익률이 22.85%입니다. 조용하지만 강하게 성장하고 있는 ETF입니다.

  • 운용사 : 한국투자신탁운용
  • 상장일 : 2024년 1월 30일
  • 기초지수 : iSelect K-POP 포커스 지수
  • 시가총액 : 1,010억 원
  • 순자산 : 1,023억 원
  • 총보수 (실부담비용률) : 0.3990%
순위종목명비중(%)주요 사업
1에스엠(SM)29.48%NCT, 에스파 등 보유. 리메이크·글로벌 IP 강화
2하이브23.37%BTS, 뉴진스, 르세라핌 등 글로벌 팬덤
3JYP Ent.21.19%트와이스, 스트레이키즈 등 해외 인기 탄탄
4YG 엔터20.46%블랙핑크, 베이비몬스터 등 강한 브랜드
5큐브엔터0.94%(여자)아이들, 펜타곤 등 중견 기획사
6디어유0.90%팬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버블’ 운영
7YG PLUS0.83%음반 유통·MD 제작 등
8CJ ENM0.80%방송·예능 콘텐츠 제작·유통
9KT지니뮤직0.79%음악 스트리밍 플랫폼 운영
10드림어스컴퍼니0.65%SM과 제휴, 음반 유통 중심
원화 현금0.53%ETF 내 유동성 비중

상위 4개 기획사 비중 합계가 무려 94.5% 이상입니다. 사실상 ‘4대 엔터주 집중형 ETF’로 봐도 무방합니다.

참고로, 성장형 ETF라서 아직 분배금은 없습니다. 배당수익보다는 시세차익 중심의 ETF라는 점.

👉 이 종목의 장점

  • K-POP 산업 핵심 종목에 압축 투자할 수 있음
  • 하이브, JYP, SM, YG 등 시장 점유율 높은 대형 기획사 집중
  • 개별 종목 리스크 줄이고 ETF로 분산 효과
  • 글로벌 팬덤 기반 → 해외 수익 성장 기대
  • 실적 시즌, 콘서트, 신곡 발매 등 트리거 이벤트 연동성 높음

👉 투자 유의사항 (단점)

  • 단기 이슈(멤버 이탈, 논란 등)에 주가 급락 가능성 존재
  • 배당 없음 → 현금 흐름 없는 성장형 ETF
  • 엔터 산업 자체가 변동성과 감정 소비에 민감한 산업

2️⃣ HANARO Fn K-POP&미디어

HANARO Fn K-POP&미디어 ETF는 K-POP 기획사 + 콘텐츠·미디어 기업에 분산 투자하는 국내 유일의 ‘K-POP+미디어 복합형 ETF’입니다.

  • 운용사 : NH-Amundi자산운용
  • 상장일 : 2021년 7월 30일
  • 기초지수 : FnGuide K-POP & 미디어 지수
  • 시가총액 : 552억 원
  • 순자산 : 557억 원
  • 총보수 (실부담비용률) : 0.5225%
  • 배당수익률 : 0.39% (최근 1년)
  • 1주당 배당금 : 30원 (최근 1년)

HANARO Fn K-POP&미디어 ETF의 구성종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순위종목명비중(%)주요 사업 영역
1하이브25.86%BTS·뉴진스 등 아티스트 보유, 팬 플랫폼 ‘위버스’ 운영
2JYP Ent.19.55%트와이스·스트레이키즈 등 글로벌 팬덤 아티스트
3에스엠(SM)17.80%에스파·NCT 등 IP 다수 보유, 리메이크 강세
4YG엔터테인먼트10.43%블랙핑크·베이비몬스터 등 강한 글로벌 브랜드
5CJ ENM7.24%방송·드라마·영화 제작, 음원 유통
6스튜디오드래곤6.83%tvN·넷플릭스 콘텐츠 제작 대표주
7YG PLUS2.51%YG 유통·MD 자회사, 음원 유통
8SBS2.33%민영 지상파 방송국
9큐브엔터1.36%(여자)아이들 소속, K-POP 성장주
10디앤씨미디어1.34%웹툰 기반 콘텐츠 제작사
11위지윅스튜디오1.19%영상 CG·VFX 제작사, OTT 연계 사업 확대
12애니플러스1.00%애니메이션 유통 플랫폼 및 콘텐츠 수입
13KT지니뮤직0.86%KT그룹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운영
14M830.69%콘텐츠/미디어 IT 솔루션
15미스터블루0.60%웹툰·웹소설 콘텐츠 IP 보유 기업

👉 이 종목의 투자 장점

  • K-POP과 미디어 산업에 동시 분산 투자 가능
  • 기획사에 집중된 ETF보다 분산도가 높음 (리스크 적음)
  • 배당 지급형 ETF로 소액이나마 현금흐름 가능
  • OTT 시장 확대와 함께 해외 수익 기대감

👉 투자 유의사항 (단점)

  • 방송사(SBS 등)나 웹툰·플랫폼 기업은 성장성이 기획사보다 낮을 수 있음
  • 4대 핵심 기획사 급등 시 수익률 반영이 제한적일 수 있음
  • 총보수가 0.5% 이상으로 낮은 편은 아님

ACE KPOP포커스 vs HANARO Fn K-POP&미디어 비교

구분ACE KPOP포커스 ETFHANARO Fn K-POP&미디어 ETF
핵심 투자 대상하이브, JYP, SM, YG (기획사 중심)기획사 + 방송 + 콘텐츠 기업
기획사 비중★★★★★ (약 94%)★★★★☆ (약 70%)
분배금(배당)없음있음 (연 1회)
수익 구조주가 상승 중심주가 상승 + 분배금
수익률 탄력빠름 (급등 가능)안정적 (완충력 있음)
변동성높음낮음
추천 투자 성향단기 수익, K-POP 팬안정형, 콘텐츠 산업 관심

단기 수익 노리고 K-POP 테마 집중하고 싶다면, ACE KPOP포커스 ETF가 낫고, 콘텐츠/미디어까지 아우르며 안정성을 중시하는 투자자라면 HANARO Fn K-POP&미디어 ETF가 나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마무리

대표적인 국내 엔터 ETF 2가지를 살펴봤습니다. 물론, 엔터 ETF에도 리스크는 존재합니다. 기획사별 아티스트 이슈나 갑작스러운 악재, 산업 전반의 변동성은 투자에 영향을 줄 수 있죠. 특히, ACE KPOP포커스처럼 특정 종목 비중이 높은 ETF는 단일 기업의 실적에 따라 수익률이 좌우되기도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K-POP과 한류 콘텐츠 산업은 분명히 전 세계적으로 확장 중인 성장 테마입니다. BTS, 블랙핑크, 트와이스, 세븐틴 같은 아티스트를 중심으로 이미 글로벌 팬덤은 견고하게 형성됐고, 중국 시장의 문이 다시 열릴 가능성까지 더해지며 향후 매출 성장 기대감도 커지고 있습니다.

짧은 시선보다 중장기적 관점에서, K-콘텐츠 산업의 흐름에 올라타고 싶다면 엔터 ETF는 여전히 유효한 선택지일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투자 스타일에 맞는 ETF를 잘 골라, 한류스타의 성장에 맞춰 자산도 함께 성장시켜보시길 바랍니다.

✅ 다른 테마 ETF가 궁금하다면?

✅ 이번주 인기글

👉토스증권 해외주식 사는법, 계좌 개설부터 수수료까지 완벽 가이드
👉국내 월배당 ETF 순위 TOP40 및 상위 추천 종목 분배금 비교
👉미국 나스닥100 ETF 종류 한 눈에 비교 정리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