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셋째 주 국내 ETF 주간 수익률 순위 TOP10을 정리하겠습니다. 지난 주, 어떤 종목들이 수익을 내고 어떤 종목들은 주춤했을까요? 함께 살펴보시죠!
국내 ETF 주간 수익률 순위 TOP10 상승 종목
순위 | ETF명 | 주간 수익률 | 현재가(원) | 간단 설명 |
---|---|---|---|---|
1 | TIGER 인도니프티50레버리지(합성) | 14.32% | 44,300 | 인도 Nifty50 지수를 2배로 추종 |
2 | ACE 테슬라밸류체인액티브 | 13.95% | 13,990 | 테슬라 관련 밸류체인 종목에 투자 |
3 | KODEX 인도Nifty50레버리지(합성) | 12.60% | 17,710 | 인도 Nifty50 지수를 2배로 추종 |
4 | ACE 미국빅테크TOP7 Plus레버리지(합성) | 9.12% | 24,745 | 미국 빅테크 7종목에 2배 레버리지 투자 |
5 | ACE 미국주식베스트셀러 | 8.65% | 16,505 | 미국 인기 종목 중심 분산 투자 |
6 | PLUS 미국테크TOP10레버리지(합성) | 8.01% | 24,115 | 미국 테크 10종목에 2배 레버리지 투자 |
7 | 에셋플러스 인도일등기업포커스20액티브 | 7.85% | 10,820 | 인도 대표 우량주에 집중 투자 |
8 | KODEX 미국서학개미 | 7.49% | 16,865 | 서학개미가 선호하는 미국 주식에 투자 |
9 | 에셋플러스 글로벌플랫폼액티브 | 7.39% | 12,740 | 글로벌 플랫폼 기업 중심 액티브 ETF |
10 | KODEX 200롱코스닥150숏선물 | 6.95% | 9,630 | KOSPI200 상승 + KOSDAQ150 하락에 투자 |
🔶 ETF 상승 주요 포인트
- 이번 주 ETF 시장에서는 인도 관련 레버리지 상품들이 눈에 띄는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TIGER 인도니프티50레버리지(합성)’와 ‘KODEX 인도Nifty50레버리지(합성)’는 각각 14%와 12%대의 높은 수익률을 보이며 1위와 3위에 올랐습니다. 인도는 최근 총선을 앞두고 정치적 안정 기대감이 높아졌고, 글로벌 투자자들의 자금 유입이 활발해지면서 신흥국 대표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여기에 경제 성장률 전망도 긍정적으로 유지되며 인도 대형주 중심의 ETF들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 미국 빅테크와 테크주를 중심으로 한 ETF들도 이번 주 강한 흐름을 이어갔는데요. ‘ACE 미국빅테크TOP7 Plus레버리지(합성)’와 ‘PLUS 미국테크TOP10레버리지(합성)’ 등 레버리지 상품이 두 자릿수에 가까운 수익률을 기록했으며, ‘ACE 미국주식베스트셀러’, ‘KODEX 미국서학개미’ 등 미국 성장주 위주의 ETF도 고르게 상승했습니다. 이는 금리 인하 기대감에 따라 성장주 선호가 다시 살아났고, AI 및 반도체 등 혁신 기술 분야에 대한 기대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엔비디아와 테슬라 등 대표 종목들이 시장을 주도하면서 관련 ETF에 강한 탄력을 제공했습니다.
- 이외에도 테슬라 밸류체인에 집중 투자하는 ‘ACE 테슬라밸류체인액티브’가 13% 이상의 수익률을 기록했고, ‘KODEX 200롱코스닥150숏선물’ 같은 전략형 ETF는 코스피 대형주의 반등과 코스닥의 상대적 약세 흐름을 활용해 수익을 낸 모습입니다. 이번 주 상승 상위 ETF를 살펴보면 특정 국가(인도)와 테마(미국 테크, 전기차, AI) 중심으로 투자자 관심이 집중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레버리지 상품의 높은 민감도가 수익률 확대에 크게 작용했다는 점이 특징적입니다.
국내 ETF 주간 수익률 순위 TOP 10 하락 종목
순위 | ETF명 | 주간 수익률 | 현재가(원) | 간단 설명 |
---|---|---|---|---|
1 | TIGER 차이나항셍테크레버리지(합성 H) | -17.43% | 9,960 | 홍콩 항셍테크 지수 2배 추종, 중국 기술주 급락 |
2 | PLUS 한화그룹주 | -12.39% | 16,715 | 한화그룹 주요 계열사에 집중 투자 |
3 | KODEX 코스닥150레버리지 | -11.66% | 7,185 | 코스닥150 지수를 2배로 추종 |
4 | RISE 코스닥150선물레버리지 | -11.66% | 8,045 | 코스닥150 선물 지수를 2배로 추종 |
5 | HANARO 코스닥150선물레버리지 | -11.60% | 7,125 | 코스닥150 선물 지수 2배 추종 |
6 | KIWOOM 코스닥150선물레버리지 | -11.57% | 3,550 | 코스닥150 선물 지수 2배 추종 |
7 | TIGER 코스닥150 레버리지 | -11.56% | 8,045 | 코스닥150 지수 2배 추종 |
8 | KODEX 차이나H레버리지(H) | -11.32% | 2,785 | 중국 H지수 레버리지 ETF, 중국증시 하락 반영 |
9 | SOL K방산 | -10.70% | 16,230 | 국내 방산주 중심 투자, 방산 테마 조정 |
10 | PLUS 우주항공&UAM | -10.66% | 17,082 | 우주항공 및 도심항공교통(UAM) 관련 성장주 조정 |
🔷 하락 종목 주요 포인트
- 이번 주 ETF 시장에서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한 종목은 ‘TIGER 차이나항셍테크레버리지(합성 H)’로, 무려 -17.43%의 주간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중국 기술주의 급락과 홍콩 증시의 전반적인 부진이 원인으로, 미·중 갈등 재점화 우려, 내수 둔화, 규제 리스크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같은 계열인 ‘KODEX 차이나H레버리지(H)’도 -11.32%로 큰 하락을 보이며, 중국 관련 ETF 전반의 약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 한편, 코스닥150 레버리지 ETF들도 일제히 큰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KODEX 코스닥150레버리지’, ‘TIGER 코스닥150 레버리지’, ‘HANARO 코스닥150선물레버리지’ 등은 모두 -11% 이상 하락했는데, 이는 국내 중소형 성장주의 전반적인 조정 국면과 연관이 있습니다. 기술주 중심의 코스닥 시장은 금리 변동성과 경기 둔화 우려에 민감하게 반응하는데, 이번 주에는 수급 약화와 차익 실현 매물까지 겹치며 레버리지 상품에 타격을 준 것으로 분석됩니다.
- 이 외에도 테마형 ETF 중 방산 관련 ‘SOL K방산’과 우주항공 관련 ‘PLUS 우주항공&UAM’이 각각 -10%대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최근까지 강한 상승을 보여온 테마주에 대한 조정 압력이 작용한 것으로 해석되며, 테마 강세장의 숨고르기 장세에 진입했다는 신호로도 볼 수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이번 주 하락 종목들은 중국 증시와 코스닥 레버리지, 고성장 테마주에 집중되어 있으며, 투자 심리 위축과 기술적 조정 흐름이 두드러진 한 주였습니다.
극과 극을 달린 ETF 시장, 장기 투자자라면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이번 주 ETF 시장은 마치 극과 극을 달린 한 주였습니다. 인도와 미국 빅테크는 눈부시게 올랐지만, 중국과 코스닥 레버리지는 크게 흔들렸죠.
어느 한쪽은 웃고, 다른 한쪽은 깊은 한숨을 쉰 분위기였습니다. 특히 레버리지 상품에 투자한 분들은 변동성의 무서움을 다시 한번 느꼈을 것 같아요.
장기 투자자라면 이런 단기 흐름에 너무 흔들릴 필요는 없습니다. 방향성 있는 글로벌 ETF, 예를 들어 인도나 미국 성장주 중심의 상품은 오히려 지금 같은 조정 국면이 매수 기회일 수도 있죠.
다만 레버리지 ETF는 장기 투자보다는 ‘타이밍’이 중요한 상품이니, 비중은 적당히 조절하는 게 좋아요. 너무 조급해하지 말고, 좋은 테마에 꾸준히 투자하는 게 결국 웃는 길이라는 거,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국내 ETF 주간 수익률 리포트는 매주 화요일 발행됩니다. 다음 주 포스팅도 기대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