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주차, 글로벌 금융시장은 말 그대로 ‘패닉’에 빠졌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폭탄 발언 이후, 아시아 → 유럽 → 미국 증시가 연쇄 급락했고, 투자자들은 온종일 ‘롤러코스터 장세’를 경험해야 했는데요.
월가의 공포지수(VIX)는 치솟았고, 국내 코스피도 하루 만에 시가총액 112조원이 증발했습니다. 이런 극심한 변동성 속에서 국내 ETF 시장도 극명한 명암을 드러냈습니다.
각종 인버스 ETF는 두 자릿수 수익률을 기록하며 시장 하락에 대비한 투자 전략의 위력을 보여줬고, 반대로 레버리지 ETF, 특히 중국·미국 기술주 테마 상품은 -30% 가까운 낙폭으로 고스란히 손실을 떠안아야 했습니다.
이번 주간 ETF 수익률 TOP10 & 하락률 TOP10 데이터를 통해, 변동성 장세에서 어떤 ETF가 ‘방패’가 되었고, 어떤 상품이 ‘폭락장 직격탄’을 맞았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4월 1주차 ETF 주간수익률 상승종목 TOP10
위 | ETF명 | 주간 수익률 | 현재가 (원) | 간단 설명 |
---|---|---|---|---|
1 | RISE 200선물인버스2X | +15.92% | 2,560 | 코스피 급락 수혜 |
2 | KODEX 200선물인버스2X | +15.77% | 2,540 | 인버스 2X 중 대장주 |
3 | KIWOOM 200선물인버스2X | +15.63% | 2,575 | 지수 하락에 따라 급등 |
4 | PLUS 200선물인버스2X | +15.57% | 5,225 | 고가 인버스 상품 상승 |
5 | TIGER 200선물인버스2X | +15.47% | 2,695 | 안정적 추적력 유지 |
6 | KODEX WTI원유선물인버스(H) | +14.44% | 4,665 | 국제유가 하락 반영 |
7 | TIGER 원유선물인버스(H) | +13.11% | 3,040 | 유가 급락 수혜 |
8 | RISE 차이나H선물인버스(H) | +12.54% | 9,435 | 중국 증시 부진 반영 |
9 | RISE 미국반도체인버스(합성 H) | +12.23% | 26,155 | 美 반도체 조정 수혜 |
10 | RISE 팔라듐선물인버스(H) | +10.20% | 6,215 | 원자재 하락에 따른 상승 |
🔶 상승 종목 주요 포인트
- 코스피 하락에 따른 인버스 ETF 강세 : 상위 5개 모두
200선물인버스2X
계열로, 코스피 200 지수의 하락에 베팅한 인버스 ETF가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단기 급락장 대응 수요 증가로 해석됩니다.
- 원유 및 중국/미국 인버스 ETF 동반 상승 : 국제 유가 하락과 중국/미국 기술주 조정세에 따라 관련 인버스 ETF도 강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RISE 미국반도체인버스는 18.39%의 iNAV 괴리율이 눈에 띕니다.
- 대부분 ETF의 iNAV 괴리율은 ±1% 이내로 안정적이지만, RISE 미국반도체인버스는 다소 큰 음의 괴리를 보이며 유동성 주의가 필요하다는 평입니다.
4월 1주차, 국내 ETF 주간수익률 하락종목 TOP 10
순위 | ETF명 | 주간 수익률 | 현재가 (원) | 간단 설명 |
---|---|---|---|---|
1 | TIGER 차이나항셍테크레버리지(합성 H) | -33.23% | 6,460 | 中 기술주 급락 직격탄 |
2 | KODEX 차이나H레버리지(H) | -28.95% | 2,015 | 항셍지수 하락 반영 |
3 | TIGER 차이나전기차레버리지(합성) | -25.40% | 5,160 | 中 전기차 테마 급락 |
4 |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레버리지(합성) | -25.09% | 13,140 | 美 반도체 조정 반영 |
5 | TIGER 반도체TOP10레버리지 | -20.82% | 3,875 | 국내 반도체 대형주 하락 |
6 | KODEX 반도체레버리지 | -20.79% | 6,855 | 삼성전자 등 조정 영향 |
7 | TIGER 200IT레버리지 | -20.33% | 18,740 | 코스피 IT 업종 하락 |
8 | TIGER 유로스탁스레버리지(합성 H) | -19.28% | 10,155 | 유럽 증시 하락 반영 |
9 | PLUS 미국테크TOP10레버리지(합성) | -18.76% | 17,335 | 美 테크 대형주 하락 |
10 | ACE 일본TOPIX레버리지(H) | -18.75% | 33,065 | 일본 증시 조정 영향 |
🔷 하락 종목 주요 포인트
- 중국 기술·전기차 레버리지 ETF 급락세 주도 : 1~3위 모두 중국 관련 레버리지 ETF로, 특히 항셍테크와 전기차 테마는 -25% 이상 낙폭. 중국 증시 약세와 기술주 조정이 직접적 원인으로 해석됩니다.
- 글로벌 반도체·기술주 레버리지 ETF 동반 하락 : 미국과 국내 반도체 레버리지 ETF(TIGER, KODEX 모두) 20% 이상 급락.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급락 및 AI 기술주 차익실현 흐름이 영향을 주었습니다.
- 유럽(유로스탁스), 일본, 미국 테크 관련 레버리지 ETF도 -18% 이상 하락했습니다. 레버리지 상품 특성상 기초자산 조정 시 하락폭 확대, 단기 변동성에 주의 필요합니다.
관세발 증시 쇼크, ETF 투자 이렇게 대응하자
관세 불확실성과 글로벌 긴장 속에 시장은 극심한 변동성 국면에 진입했고, 하락 방어 자산과 변동성 대응 전략의 중요성이 다시 부각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ETF 투자는 어떻게 대응해야 될까요?
1️⃣ 기존 레버리지 ETF? 바로 일부 익절 or 손절 정리
이미 TIGER 반도체레버리지나 차이나 전기차 레버리지 들고 있다면, 하락폭이 더 커지기 전에 일부 정리하고 현금화하세요. 버티면 오를까?보다 얼마나 더 떨어질 수 있을까를 먼저 생각해야 될 때입니다.
2️⃣ 인버스 ETF 진입은 늦었지만, 조정 시 단기 트레이딩 가능
지금 바로 인버스에 몰빵하긴 늦었습니다. 대신 KODEX 200선물인버스2X 같이 거래량 많은 인버스를 일시적 반등 시, 분할 진입 후 단기 수익 실현용으로 활용하세요.
3️⃣ 신규 매수는 ‘안정형 ETF’로 2~3주 분할 매수
지금은 공격 아닌 방어 타이밍입니다. KODEX 배당가치, TIGER 미국배당귀족, KODEX 200TR 같은 저변동+배당 ETF를 2~3주에 나눠서 분할 매수로 접근하세요. 타이밍 맞추기보다 리스크 줄이는 게 핵심입니다.
4️⃣ 현금비중 최소 30% 이상 유지
지금은 현금이 ‘수익’입니다. 하락장 막판 기회 잡으려면 현금 비중 30~50% 유지가 필요합니다. 기회는 언제나 갑작스럽게 오며, 그땐 현금이 있어야 잡을 수 있습니다.
5️⃣ 적립식 투자는 시장의 변동성을 ‘내 편’으로 만드는 방법입니다.
하락장에도 묵묵히 쌓아가는 적립식 투자는 평균 매입단가를 낮추고, 장기적으로 복리 효과를 키우는 핵심 전략입니다. 몰빵 NO, 분할 YES -> 이 원칙만 지켜도 최소 리스크 절반은 줄일 수 있습니다.
이렇게, 4월 첫째 주 무시무시했던 급락장의 ETF 주간수익률을 살펴봤는데요. 지금은 수익보다 손실 최소화가 더 중요한 시기입니다. 방어적 포지션 + 분할매수 + 타이밍 욕심 버리기가 살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