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수수료에 대해 완벽히 정리하겠습니다. ETF 수수료는 장기 투자 시 수익률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실제 매수자가 부담하는 비용을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ETF 수수료는 공시된 펀드보수(운용보수) 외에도 기타비용과 매매중개 수수료가 추가됩니다. 더불어, 같은 지수를 추종하는 ETF더라도 운용사에 따라 수수료가 달라지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ETF를 모아가려는 분들이라면 수수료에 대해 꼭 알고 넘어가시기 바랍니다.
ETF 수수료 바로 알기
ETF 수수료는 공시된 금액과 투자자가 실제 내는 금액이 다릅니다. 네이버 증권 등에서 확인되는 총보수는 ETF를 운영하는 회사가 가져가는 기본적인 보수입니다. 그러나 여기에 기타 비용과 매매 중개 수수료가 붙기 때문에 실제 투자자는 더 많은 수수료를 내게 되죠.
실제 ETF 수수료는 아래와 같습니다.
- 운용보수(펀드보수): ETF를 운영하는 회사가 가져가는 기본적인 보수
- 총보수(Total Expense Ratio, TER): 운용보수 + 기타 비용 (자산 보관비, 법인세 등 포함, 매매·중개 수수료는 제외)
- 실부담비용(실효보수): 총보수(TER) + 매매·중개 수수료까지 포함한 실제 부담 비용
따라서, ETF 투자자라면 ‘실부담비용’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ETF 수수료 계산법
ETF 투자자가 실제로 부담하는 총 비용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 실제 투자자가 부담하는 보수·비용 수준 = TER(A+B) + 판매수수료율(C) + 매매·중개수수료율(D)
기호 | 항목 | 설명 |
---|---|---|
A | 보수합계 | 운용보수, 수탁보수 등 ETF를 운영하는 데 드는 기본 비용 |
B | 기타비용 | 지수사용료, 법인세, 회계감사 비용 등 추가 비용 |
C | 판매수수료율 | 일부 펀드에서 발생하는 판매 관련 수수료 (ETF는 일반적으로 없음) |
D | 매매·중개수수료율 | ETF가 종목을 사고팔 때 발생하는 거래 비용 |
2008년 6월부터 매매·중개 수수료가 총보수(TER)에서 제외되어 별도로 공시됨. 따라서 투자자가 실제 부담하는 비용을 정확히 계산하려면 매매·중개 수수료까지 확인해야 합니다.
ETF 총보수(TER) 계산법
Total expense ratio(TER)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총보수·비용비율 (TER) = (보수합계 + 기타비용) ÷ 펀드순자산
- TER에는 매매·중개 수수료가 포함되지 않음.
- ETF 운용사의 공식 자료에서 TER을 확인할 수 있으며, 여기에 매매·중개 수수료를 추가해야 최종 부담 비용을 알 수 있음.
ETF 수수료 쉽게 확인하는 법 : 실부담비용
실제 ETF 수수료를 쉽게 확인하려면 아래와 같은 방법이 있습니다.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 서비스 이용하기
증권사 투자설명서에 나오는 총보수비용은 최종 금액이 아닙니다. 여기에는 매매 중개 수수료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실부담비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서비스 사이트에 들어가 봐야 합니다.
1)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서비스 들어가기
위와 같이 검색하여 ‘펀드 보수 및 비용’이라는 메뉴에 들어갑니다.
2) 원하는 ETF 종목 검색하기
저는 위와 같이 TIGER미국S 라고 검색하여 미국S&P500 ETF를 찾았습니다. 종목 이름을 넣어도 검색이 잘 안될때가 있으니, 이렇게 일부만 검색하여 종목을 찾아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현재 TER이라고 해서 투자설명서에 나왔던 보수가 나옵니다. 0.14%입니다. 그러나 뒤쪽으로 가보면 매매 중개 수수료율이 나옵니다. 0.0383%입니다. 이 두개를 더해줘야 진짜 투자자가 부담하는 총보수가 나오는겁니다.
이렇게 해서 TIGER미국S&P500 ETF 총보수는 0.1783%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바뀔 수 있습니다.
ETF CHECK 사이트
위와 같은 과정이 번거롭다면, ETF CHECK 사이트에서 총보수를 확인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사실 이게 가장 간편하기 때문에 저도 ETF CHECK 사이트에서 확인하는 편입니다.
1) ETF CHECK 검색
포털 사이트에 ETF CHECK를 검색합니다.
2) 종목 검색하기
위와 같이 검색창에 원하는 총보수를 알고 싶은 종목을 검색합니다. 저는 TIGER 미국S&P500을 검색했습니다.
3) 실부담비용 확인하기
위와 같이 ETF CHECK에는 총보수율, 총보수비용비율, 실부담비용율까지 친절하게 기재가 되어 있습니다.
투자자가 최종적으로 내야 하는 실부담비용율은 0.1783%라고 나와있지요. 이러한 방식으로 진짜 ETF 수수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상, ETF 수수료 확인하는 법을 알아봤습니다. 실제 내가 얼마나 수수료를 내는지 알고 싶다면 위와 같은 방식으로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증권사 수수료 비교
👉S&P 500 ETF 사는법 : 계좌 개설부터 매수까지
👉트럼프 수혜주 ETF란? 지금 주목해야 할 정책과 종목 총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