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500 ETF 수수료 비교를 통해 가장 저렴한 종목을 알아보겠습니다.
최근 금융업계에서는 ETF 수수료 인하 경쟁이 치열하게 펼쳐지고 있다. 투자자들이 수익률을 극대화하기 위해 비용 절감을 중시하면서, 운용사들은 더 낮은 수수료를 앞세워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것이다.
특히, 장기 투자자라면 수수료 차이가 누적되면서 최종 수익률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저비용 ETF 선택이 중요하다. 그렇다면 2025년 2월 기준, 국내 증권사들이 출시한 S&P 500 ETF 중에서 가장 저렴한 상품은 무엇일까?
이번 글에서는 각 운용사의 S&P 500 ETF 수수료를 비교하고, 투자자들에게 가장 유리한 선택지를 분석해본다.
운용사별 S&P 500 ETF 수수료 비교 (2025년 2월 기준)
현재 국내에서 운용되는 S&P 500 ETF의 연간 수수료(실부담비용)는 다음과 같다.
ETF 명칭 | 운용사 | 연간 수수료 |
---|---|---|
ACE 미국S&P500 | 한국투자신탁운용 | 0.1755% |
HANARO 미국S&P500 | NH-아문디자산운용 | 0.6636% |
KIWOOM 미국S&P500 | 키움투자자산운용 | 0.2700% |
KODEX 미국S&P500 | 삼성자산운용 | 0.2293% |
TIGER 미국S&P500 | 미래에셋자산운용 | 0.2019% |
WON 미국S&P500 | 우리자산운용 | 0.3147% |
PLUS 미국S&P500 | 한화자산운용 | 0.6883% |
RISE 미국S&P500 | KB자산운용 | 0.1740% |
SOL 미국S&P500 | 신한자산운용 | 0.2283% |
위 표를 보면, 가장 낮은 수수료를 제공하는 ETF는 KB자산운용의 RISE 미국S&P500(0.1740%)이며, 두 번째로 낮은 ETF는 한국투자신탁운용의 ACE 미국S&P500(0.1755%)이다.
반면, 한화자산운용(PLUS 미국S&P500, 0.6883%)과 NH-아문디자산운용(HANARO 미국S&P500, 0.6636%)은 상대적으로 높은 수수료율을 가지고 있다.
1천만 원 투자 시, S&P 500 ETF 수수료 차이 분석
그렇다면, 실제로 1천만 원을 투자했을 때 연간 수수료 부담이 얼마나 차이 나는지 비교해보자.
ETF 명칭 | 연간 수수료 (원) |
---|---|
RISE 미국S&P500 | 17,400원 |
ACE 미국S&P500 | 17,550원 |
TIGER 미국S&P500 | 20,190원 |
SOL 미국S&P500 | 22,830원 |
KODEX 미국S&P500 | 22,930원 |
KIWOOM 미국S&P500 | 27,000원 |
WON 미국S&P500 | 31,470원 |
HANARO 미국S&P500 | 66,360원 |
PLUS 미국S&P500 | 68,830원 |
KB자산운용의 RISE 미국S&P500(0.1740%)은 1천만 원 투자 시 연간 수수료가 17,400원에 불과하다.
반면, 가장 높은 수수료를 가진 한화자산운용의 PLUS 미국S&P500에 투자했다면, 1천만 원 매수했을 때 연간 수수료는 68,830원에 달한다.
수수료가 가장 낮은 RISE 미국S&P500과 가장 높은 PLUS 미국S&P500 간에는 연간 약 51,430원의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만약 10년 장기 투자를 한다면 약 51만 원 이상의 비용 차이가 누적된다.
결론 : 어떤 S&P500 ETF을 사야 할까?
이상, 증권사별 S&P 500 ETF 수수료를 비교해봤다. 장기적으로 투자할수록 수수료 차이가 누적되어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떤 ETF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유리할까?
✅ 최저 수수료를 원한다면?
수수료 부담을 최소화하고 싶다면 RISE 미국S&P500(연 17,400원), ACE 미국S&P500(연 17,550원)이 가장 좋은 선택이다. 장기적으로 보면 수수료가 낮을수록 최종 수익률이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
✅ 안정성과 거래량도 고려해야 한다면?
ETF를 거래할 때는 유동성이 중요한데, 삼성자산운용(KODEX)이나 미래에셋자산운용(TIGER)처럼 대형 운용사에서 출시한 ETF는 거래량이 많아 쉽게 사고팔 수 있다. 만약 신뢰도가 높은 운용사의 ETF를 원한다면, 미래에셋의 TIGER 미국S&P500(연 20,190원)이 KODEX보다 다소 유리할 수 있다.
✅ 장기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라면?
10년 이상 장기 투자할 계획이라면, 작은 수수료 차이가 누적되면서 큰 차이를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간 5,000원 차이가 나는 ETF라면, 10년 후에는 5만 원, 20년 후에는 10만 원 이상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장기 투자자라면 최대한 수수료가 낮은 ETF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결론적으로, S&P 500 ETF를 선택할 때 단순히 수수료만 고려할 것이 아니라, 운용사의 신뢰도와 거래량도 함께 따져봐야 한다. 하지만 장기적인 수익을 극대화하려면, 가능하면 가장 낮은 수수료를 가진 ETF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할 수밖에 없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S&P 500 ETF 사는법 : 계좌 개설부터 매수까지
👉2024 증권사 수수료 비교 : TOP10 총정리
👉지금 당장 시작해야 하는 ‘노후준비 ETF’, 40·50·60대 맞춤 포트폴리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