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상장 화장품 ETF TOP3 완전 정리 | 수익률, 구성 종목, 투자 팁까지

“K-뷰티가 다시 뜬다고?” 한동안 잠잠하던 화장품 관련 종목들이 슬금슬금 반등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뷰티시장에서 한국 화장품 브랜드가 주목을 받고 있고, 유럽 시장에서의 성장, 인디 브랜드의 약진, 한류 콘텐츠 확산까지… 이런 흐름에 맞춰 화장품 ETF가 높은 수익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국내 상장된 대표 화장품 ETF TOP3 종목에 대해 수익률, 구성 종목, 투자 포인트까지 비교 분석해보겠습니다.


국내 상장 화장품 ETF 3종

현재 국내 시장에 상장된 화장품 ETF는 대표적으로 3종목입니다.

  • TIGER 화장품
  • HANARO K-뷰티
  • SOL 화장품TOP3플러스
ETF명운용사설정일구성종목 수총보수율최근 3개월 수익률
TIGER 화장품미래에셋자산운용2015.0617종목0.6364%44.68%
SOL 화장품TOP3플러스신한자산운용2024.0110종목0.4998%52.31%
HANARO K-뷰티NH아문디2021.0320종목0.5476%39.92%

신한자산운용의 ‘SOL 화장품TOP3플러스’가 가장 늦게 상장했지만 단기 성과로는 압도적인 수익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화장품 ETF TOP3 비교 분석

1) TIGER 화장품

  • 운용사 : 미래에셋자산운용
  • 상장일 : 2015년 10월 7일
  • 시가총액 : 2,664억 원
  • 순자산 : 2,660억 원
  • 실부담비용률 (총 보수) : 0.6364%
  • 배당수익률 : 0.24%
  • 최근 1주당 배당금 : 10원
  • 구성종목 TOP15 : 달바글로벌, 한국콜마,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코스맥스, 실리콘투, 에이피알, 파마리서치, 브이티, 코스메카코리아, 펌텍코리아, 제닉, 아이패밀리에스씨, 씨앤씨인터내셔널, 마녀공장

TIGER 화장품 ETF는 국내 대표 자산운용사인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운용하며, 국내 화장품 산업 전반을 포괄적으로 반영하는 분산형 ETF입니다. 이 ETF는 약 17개의 화장품 관련 종목에 투자하며, 단일 종목에 과도하게 비중이 몰리지 않도록 10% 상한 규칙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에이피알, 실리콘투 등 최근 급등한 신흥 기업도 포함하고 있지만, 전체 포트폴리오 안에서는 전통 강자들과의 균형을 유지합니다. 또 정기 리밸런싱을 분기마다 진행해 시장 변화에 꾸준히 대응할 수 있는 구조를 갖췄습니다.

투자자 입장에서 보면, K-뷰티라는 산업 자체의 흐름에 장기적으로 투자하고 싶은 경우 안정적 선택지로 고려될 수 있습니다. 또한 유동성이 가장 풍부해 매매 시 스프레드 부담이 적고, 상장폐지 리스크도 사실상 없음이 장점입니다.

2) HANARO K-뷰티

  • 운용사 : NH-Amundi자산운용
  • 상장일 : 2024년 4월 16일
  • 기초지수 : FnGuide K-뷰티 지수
  • 시가총액 : 318억 원
  • 순자산 : 326억 원
  • 실부담비용률 (총 보수) : 0.5476%
  • 배당수익률 : 0.21%
  • 1주당 배당금 : 35원
  • 구성종목 TOP 15 : 아모레퍼시픽, 에이피알, 파마리서치, LG생활건강, 코스맥스, 달바글로벌, 실리콘투, 휴젤, 한국콜마, 메디톡스, 아모레퍼시픽홀딩스, 브이티, 비올, 코스메카코리아, 휴메딕스

HANARO K-뷰티는 NH-아문디자산운용에서 운용하며, 단순히 화장품 기업에만 투자하지 않고 보톡스, 필러 등 K-메디컬뷰티 종목까지 포트폴리오에 포함한 것이 특징입니다. 총 20종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휴젤, 메디톡스, 휴메딕스 등 뷰티 관련 바이오 기업들이 핵심 종목군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 ETF의 운용 전략은 K-뷰티 산업을 단순한 소비재가 아닌 “K-헬스&뷰티 산업군”으로 확장해서 해석한다는 데 있습니다. 특히 한국의 미용의료 수출 및 인바운드 의료관광 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투자 아이디어에 녹아 있습니다.

일반적인 화장품 ETF와 달리, 미용의료 성장성과 연계된 구조이기 때문에 장기 트렌드 투자자나 K-뷰티 전체 생태계에 투자하고 싶은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단점으로는 화장품 단일 종목들의 최근 랠리에서는 다소 수익률이 밀리는 경향이 있으며, 종목 특성상 바이오 섹터의 리스크가 일부 내포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3) SOL 화장품TOP3플러스

  • 운용사 : 신한자산운용
  • 상장일 : 2025년 1월 21일
  • 기초지수 : FnGuide 화장품 TOP3 플러스 지수
  • 시가총액 : 928억 원
  • 순자산 : 927억 원
  • 실부담비용률 (총 보수) : 0.4998%
  • 최근 배당 내역 없음
  • 구성종목 TOP 10 : 코스맥스, 아모레퍼시픽, 실리콘투, 달바글로벌, 한국콜마, 에이피알, LG생활건강, 브이티, 코스메카코리아, 펌텍코리아

신한자산운용이 운용하는 SOL 화장품TOP3플러스는 2024년 1월 상장된 신생 ETF지만, 단기간에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두며 투자자들의 이목을 끌고 있습니다. 이 ETF는 단 10종목만으로 구성되며, ‘뷰티 산업 내 테마별 시총 상위 3개 기업 + 기타 상위 7종목’을 엄선해 담는 전략을 취합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에이피알, 실리콘투, 달바글로벌 등 급성장 중인 인디 브랜드 및 ODM 업체들에 높은 비중을 실어 성장주에 집중 투자하는 방식이라는 점입니다. 실제로 이들 3개 기업이 전체 포트폴리오의 34% 이상을 차지합니다.

운용전략상 수익률 변동성이 크지만, 타이밍이 맞을 경우 강력한 수익을 노릴 수 있는 고성장형 ETF입니다. 최근 3개월 동안의 수익률이 가장 높았던 이유도 바로 이 집중 전략 덕분입니다.

단기 테마에 베팅하거나, 성장 속도가 빠른 종목 위주로 포트폴리오를 꾸리고 싶은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다만 분산이 적기 때문에 시장 충격에는 상대적으로 민감할 수 있습니다.

화장품 ETF 투자하고 싶은데, 어떤 종목이 나에게 맞을까?

K-뷰티 산업에 투자하고 싶지만 어떤 ETF를 선택해야 할지 고민된다면, 가장 먼저 점검해야 할 건 ‘나의 투자 성향’입니다. ETF마다 담고 있는 종목, 운용 전략, 수익률 흐름이 제각기 다르기 때문에 내가 어떤 성격의 투자자인지에 따라 선택지도 달라지는데요.

아래 내용을 참고해 본인에게 가장 잘 맞는 ETF를 골라보세요.

👉 나는 안정적인 분산 투자가 좋다면?

TIGER 화장품 ETF가 적합합니다. 다양한 화장품 종목에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를 보이고 있으며, 거래량과 순자산 모두 ETF 중 가장 안정적입니다. 시장이 흔들릴 때도 상대적으로 방어력이 높은 것도 장점! 만약 ETF 투자가 처음이거나, 변동성이 부담스럽다면 TIGER 화장품으로 K-뷰티 시장 전체에 장기적인 투자가 어울립니다.

👉 수익률이 가장 중요하다면?

SOL화장품TOP3플러스는 최근 3개월 수익률이 가장 높은 종목입니다. 신흥 인디 뷰티 브랜드와 급성장 종목에 집중 투자하고 있고, 소수 종목에 몰빵하는 만큼 상승장에서도 폭발력이 강합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리스크도 있다는 걸 명심해야 합니다. 소액으로 공격적 투자를 해보고 싶다면 이 종목이 잘 어울릴 수 있습니다.

👉 넓은 의미의 K-뷰티에 투자하고 싶다면?

HANARO K-뷰티 종목은 화장품뿐만 아니라 보톡스, 필러 등 미용의료 기업까지 포함하고 있다는 게 특징입니다. 휴젤, 메디톡스 등 제약바이오 종목에도 투자가 가능하죠. K-뷰티 산업에 투자하고 싶으면서 헬스, 뷰티 산업까지 포함시키고 싶다면 이 종목이 적합합니다.

투자 성향추천 ETF이유
안정적이고 분산된 장기 투자TIGER 화장품균형 잡힌 포트폴리오, 유동성 우수
단기 트렌드 수익 집중SOL 화장품TOP3플러스신흥 강세 종목 집중, 수익률 상위
미용의료 확장형 테마 투자HANARO K-뷰티뷰티 + 메디컬 융합 테마 반영

마무리

화장품 ETF는 최근 수익률이 돋보이긴 하지만, 단기 급등 이후의 조정 가능성도 항상 염두에 두셔야 합니다. 특히 SOL 화장품TOP3플러스처럼 소수 종목에 집중된 ETF는 상승폭이 큰 만큼 하락 시 변동성도 크다는 점, 꼭 유의하세요.

또한 K-뷰티 산업 자체가 중국 소비, 글로벌 수출 환경, 환율 등 외부 요인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단기 이슈에 따라 실적과 주가가 크게 출렁일 수 있습니다.

ETF는 분산투자의 도구이지만, 무턱대고 수익률만 보고 따라가서는 안 됩니다. 자신의 투자 목적과 리스크 감내 수준을 명확히 설정한 뒤, 분할 매수, 정기 리밸런싱 같은 전략을 활용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지금의 상승장이 ‘기회’일 수도 있지만, 언제든 ‘조정’으로 바뀔 수 있다는 점을 잊지 마세요.

✅ 이번주 인기글

👉테슬라 ETF 추천 TOP 8 | 수익률 비교 및 투자 전략
👉월배당 맛집! PLUS 고배당주 ETF 1억 굴리면 실제 배당금은 얼마?
👉2025 증권사 수수료 비교 : TOP10 총정리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