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채 ETF 추천 비교, 투자자 입장에서 보는 장단점 정리

요즘 미국 국채 ETF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특히 금리 변동성이 커지고, 경제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많은 투자자들이 채권 투자에 눈을 돌리고 있죠. 저 역시 직접 투자하면서 경험한 내용을 바탕으로 미국 국채 ETF를 비교하고, 투자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을 정리해보았습니다.

미국 국채 ETF란?

미국 국채 ETF는 미국 정부가 발행하는 국채(미국채, U.S. Treasury Bonds)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입니다. 안전성이 높고, 금리 변동에 따라 가격이 움직이는 특징이 있지요.

많은 투자자들이 미국국채 ETF에 투자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안전자산입니다. 미국 정부가 보증하는 국채이기 때문에 원금 손실 위험이 낮습니다.

둘째, 배당수익입니다. 매월 또는 분기별 배당 지급을 해주기 때문에 장기 채권일수록 배당률도 높습니다.

셋째, 금리 인하의 기대감이 있기 때문입니다. 금리가 내리면 채권 가격이 상승하여 자본 차익이 가능합니다.

넷째, 환율 영향때문입니다. 달러가 강세일 때 환차익을 노려볼 수 있습니다.

미국 국채 ETF 추천 비교

미국 국채 ETF 추천 비교

미국 국채 ETF는 잔존 만기(단기, 중기, 장기)에 따라 성격이 다릅니다. 따라서 내 투자 스타일에 맞는 ETF를 고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기 국채 ETF (금리 변동 리스크↓)

단기 국채는 만기 1~3년 이하로, 금리 변동에 따른 가격 변동성이 낮습니다. 안정적인 배당 수익이 가능한 게 장점이죠. 추천하는 ETF는 다음과 같습니다.

티커ETF명투자 만기특징
SGOViShares 0-3 Month Treasury Bond ETF3개월 이하초단기 국채, 현금 대체용
SHYiShares 1-3 Year Treasury Bond ETF1~3년단기 국채, 안정적 배당
BILSPDR Bloomberg 1-3 Month T-Bill ETF3개월 이하머니마켓펀드 대체 가능

📌 추천 이유

  • 단기 채권은 가격 변동이 적고 안정적 수익을 원할 때 유리함
  • 금리 상승기에도 손실 위험 적음
  • 배당금 수익이 꾸준히 발생함

중기 국채 ETF (균형 잡힌 투자)

중기 국채는 만기 3~10년으로, 단기채보다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금리 변동 리스크와 수익성을 모두 갖추고 있습니다.

티커ETF명투자 만기특징
IEFiShares 7-10 Year Treasury Bond ETF7~10년중기 채권, 배당+가격 상승 기대
IEIiShares 3-7 Year Treasury Bond ETF3~7년중기 채권, 변동성 적당

📌 추천 이유

  • 금리 인하가 예상될 때, 중기채부터 수익성이 좋아짐
  • 배당과 가격 상승(자본 차익) 균형을 맞춘 투자가 가능

장기 국채 ETF (고위험, 고수익)

장기 국채는 만기 20년 이상으로, 금리 변화에 가장 민감합니다. 금리가 떨어지면 채권 가격이 급등하여 주식처럼 높은 수익을 낼 수도 있지만, 반대로 금리가 오르면 손실이 큽니다. 따라서 고수익이 기대되는만큼 위험도 크다는 걸 인지하고 투자해야 합니다.

티커ETF명투자 만기특징
TLTiShares 20+ Year Treasury Bond ETF20년 이상금리 인하 기대 시 강력 추천
ZROZPIMCO 25+ Year Zero Coupon U.S. Treasury Index ETF25년 이상변동성 극대화, 고위험 투자

📌 추천 이유

  • 금리 인하기에 가장 높은 수익 가능 (레버리지 효과)
  • 가격 변동성이 커서 장기 투자자에게 적합
  • 단기 투자자는 손실 위험 고려해야 함

국내 상장 미국 국채 ETF 비교

국내 상장된 미국국채 ETF도 물론 있습니다. 원화로 쉽게 투자할 수 있다는 게 큰 장점이죠.

종목환헤지 여부운용사총 보수
KODEX 미국30년국채액티브(H)환헤지 O삼성자산운용0.015%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환헤지 O한국투자신탁0.050%
RISE 미국30년국채액티브환헤지 XKB자산운용0.050%
SOL 미국30년국채액티브(H)환헤지 O신한자산운용0.050%

환헤지 ETF는 환율 변동에 영향이 적고요. 환헤지가 안되는 상품은 달러 강세 시 추가 수익이 가능합니다. 이런 차이점이 있습니다.

현재 위 종목들의 1개월 수익률은 3% 정도 되는데, 1년 수익률이 마이너스입니다. 주요 원인은 장기 국채 금리의 상승입니다. 일반적으로 금리가 상승하면 채권 가격은 하락하여, 이를 추종하는 ETF의 수익률도 감소하게 됩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조기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가 후퇴하면서, 장기 금리가 예상보다 빠르게 하락하지 않았고, 미국 정부의 재정 적자 확대와 이에 따른 국채 발행 증가로 인해 채권 공급이 늘어나면서, 채권 가격이 하락하고 금리가 상승하는 압력을 받았습니다. 높은 물가 상승률과 강한 소비 지표로 인해 인플레이션 우려가 지속되면서,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가 약화되었고요.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장기 국채 금리가 상승하면서, 30년 국채 투자하는 ETF 종목들의 수익률이 하락한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이러한 금리 변동성과 경제 지표를 주의 깊게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으며, 때에 따라 포트폴리오를 조정하며 투자를 해야 합니다.

미국 국채 ETF 투자 시 고려할 점

1) 금리 방향 예측하기

  • 금리 인하 예상 시 → 장기 국채 ETF(TLT, ZROZ)
  • 금리 상승 예상 시 → 단기 국채 ETF(SGOV, SHY)

2) 배당 수익 VS 자본 차익

  • 배당 수익 원하면 단기/중기 국채 ETF
  • 가격 상승 기대하면 장기 국채 ETF

3) 환율 리스크

  • 환율 변동성 고려 → 환헤지 ETF(KODEX, ACE) 선택 가능

결론 – 어떤 미국 국채 ETF를 선택할까?

무엇보다 투자 목적과 시장 상황에 맞춰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목적에 맞게 아래와 같이 투자를 하면 좋을 것 같네요.

안정적인 배당 + 낮은 변동성단기 국채 ETF (SGOV, SHY)
적당한 배당 + 금리 인하 기대감중기 국채 ETF (IEI, IEF)
금리 인하 베팅, 고수익 가능성장기 국채 ETF (TLT, ZROZ)

저는 개인적으로 중기 국채(IEI)와 장기 국채(TLT)를 혼합 투자하면서 금리 하락과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동시에 노리는 전략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어떤 국채 ETF에 투자하시나요? 의견을 댓글로 공유해주세요!

👉S&P 500 ETF 사는법 : 계좌 개설부터 매수까지
👉미국 나스닥100 ETF 종류 한 눈에 비교 정리
👉국내 월배당 ETF 순위 TOP40 정리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