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 샀더라면.. KODEX 반도체레버리지 ETF, 올해 70% 올랐다!

요즘 반도체 주가가 정말 불기둥처럼 치솟고 있죠? 삼성전자, SK하이닉스가 코스피를 이끌면서 자연스럽게 반도체 ETF 수익률도 껑충 뛰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요즘 가장 많이 언급되는 KODEX 반도체 ETF, 특히 KODEX 반도체레버리지KODEX AI반도체 두 종목을 중심으로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KODEX 반도체레버리지 – 올해 수익률 68%

  • 기초지수: KRX 반도체 지수
  • 레버리지: 2배 추종
  • 주요 보유 종목: 삼성전자 + SK하이닉스 비중 80% 이상

이 종목은 국내 반도체 대표 지수를 2배로 추종하다 보니, 삼성전자∙하이닉스가 오르면 그 효과가 두 배로 나타납니다.
2025년 3월 최저점에서는 마이너스 수익률까지 갔다가, 6월부터 가파르게 반등하며 70% 가까이 수익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장난 아니죠?

다만, 레버리지 ETF 특성상 수익률이 크게 나는 만큼 변동성도 극심합니다. 단기 대응에는 좋지만, 장기투자자라면 신중하게 접근해야합니다.

저도 3월 저점에서 소액으로 들어갔다면 지금쯤 두 배 이상 불어났을 텐데… 아쉬움이 남네요!

참고로, KODEX 반도체레버리지 총보수율은 0.49%이지만, 실부담비용률이 약 0.9186%입니다. 1,000만 원 투자 시 연 9만 2천 원 수준이죠. 저렴하진 않습니다.

레버리지 ETF는 잦은 매매가 필요하기 때문에 일반 ETF보다 비용이 높다는 점은 꼭 알고 투자하셔야 합니다.
장기 보유 시에는 수익률이 비용에 갉아먹힐 수 있거든요.

또한, 배당금은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철저히 시세 차익형 ETF라고 생각하는 게 맞습니다.

KODEX AI반도체 – HBM 효과로 상승

  • 삼성전자 + SK하이닉스: 약 46% 비중
  • 특징: HBM 밸류체인 기업까지 편입 (한미반도체, 테크윙 등)

이 ETF는 단순히 반도체 대장주만 담은 게 아니라, AI 투자 수혜를 직접적으로 받는 기업들까지 포트폴리오에 넣은 것이 특징인데요. 최근 1년 수익률이 53%입니다.

최근 하이퍼스케일러들의 HBM(고대역폭 메모리) 투자 붐이 이어지면서 HBM 장비주까지 수혜를 보고 있습니다. 저라면 장기적으로는 AI 생태계 확장성을 담고 있는 이 ETF에도 관심을 두고 싶네요.

반도체 ETF, 어떤 투자자에게 어울릴까?

  • KODEX 반도체레버리지 → 단기적으로 반도체 랠리를 크게 먹고 싶은 공격적 투자자
  • KODEX AI반도체 → 장기적으로 AI 생태계 성장성에 베팅하려는 투자자

저는 개인적으로, 짧게 대응할 때는 레버리지, 꾸준히 모아갈 땐 AI반도체 쪽에 조금 더 손이 갑니다.

마무리

반도체 ETF는 지금처럼 수급 불균형과 가격 인상 사이클이 오면 폭발적인 수익률을 주기도 하지만, 반대로 불황기에는 급락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결국 중요한 건 내 투자 성향과 기간! 단타로 볼지, 장기로 갈지, 먼저 정하고 들어가시는 게 좋습니다.

이번 달도 현명하게 투자해 보겠습니다. 여러분도 투자 방향 잘 잡으셔서 수익 챙기시길 바랄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