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4주차] 국내 ETF 주간 수익률 분석|기술주 반등에 레버리지 ETF 급등, 인버스는 직격탄

2025년 4월 마지막 주! 국내 ETF 시장은 미국 기술주의 강한 반등과 함께 극명한 방향성을 드러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관련 발언이 이어지는 가운데, 시장은 여전히 불확실성을 품고 있지만, 미국 대형 기술주의 실적 기대감에 나스닥이 급등하며 레버리지 ETF가 일제히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반면, 기술주 하락에 베팅한 인버스 ETF는 큰 폭의 손실을 기록했는데요. 이번 주 ETF 수익률 상위·하위 TOP10을 살펴보면, 시장이 어떤 섹터에 베팅하고 있는지, 또 투자자들이 어떤 심리로 대응하고 있는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4월 4주차 ETF 주간 수익률 상위/하위 10개 종목을 정리하고, 최근 시장 흐름과 ETF 투자 전략을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국내 ETF 주간수익률 상승 종목 TOP10

순위ETF명주간 수익률현재가
1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레버리지(합성)26.76%15,240원
2PLUS 미국테크TOP10레버리지(합성)25.09%20,040원
3ACE 미국빅테크TOP7 Plus레버리지(합성)24.42%20,535원
4ACE 테슬라밸류체인액티브19.61%13,220원
5TIGER 미국나스닥100레버리지(합성)19.55%20,750원
6KODEX 미국AI소프트웨어TOP1019.42%11,500원
7ACE 미국주식베스트셀러17.77%16,290원
8KODEX 미국나스닥100레버리지(합성 H)17.19%9,795원
9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15.85%11,360원
10SOL 미국AI소프트웨어15.83%12,710원

🔸 상승 종목 핵심 포인트

  • 미국 기술주 반등에 레버리지 ETF 급등 : 나스닥과 S&P500 지수가 주요 기술기업의 실적 기대감에 강하게 반등하면서, 관련 레버리지 ETF가 일제히 상위권을 차지했습니다. 특히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레버리지(26.76%), PLUS 미국테크TOP10레버리지(25.09%), ACE 미국빅테크TOP7 Plus레버리지(24.42%) 등은 20%를 넘는 고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 기술주 낙폭과대 구간에서의 반발 매수세 유입 : 전 주에 과도하게 하락했던 미국 빅테크, AI, 반도체 관련 ETF들이 저가 매수세의 유입으로 급반등. 이는 단기적인 과매도 반등 랠리, 또는 실적 방어 기대감에 따른 포지션 전환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마지막 주 ETF 상승 종목을 살펴보면, 시장의 방향성이 기술주 상승 쪽으로 명확히 쏠리며, 투자자 심리가 공격적으로 전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내 ETF 주간수익률 하락 종목 TOP 10

순위ETF명주간 수익률현재가
1RISE 미국반도체인버스(합성 H)-11.52%21,585원
2ACE 미국빅테크TOP7 Plus인버스(합성)-11.18%11,005원
3SOL 미국테크TOP10인버스(합성)-10.43%8,440원
4ACE 골드선물 레버리지(합성 H)-9.86%36,040원
5KODEX 미국나스닥100선물인버스(H)-8.15%8,170원
6PLUS 200선물인버스2X-6.65%4,430원
7KODEX 200선물인버스2X-6.62%2,160원
8TIGER 200선물인버스2X-6.53%2,290원
9KIWOOM 200선물인버스2X-6.42%2,180원
10TIGER 미국S&P500선물인버스(H)-6.33%3,110원

🔹 하락 종목 핵심 포인트

  • 미국 기술주 반등에 따라, 해당 하락에 베팅했던 인버스 ETF들이 큰 폭의 손실을 기록했습니다. 대표적으로 RISE 미국반도체인버스(-11.52%), ACE 미국빅테크TOP7 Plus인버스(-11.18%), SOL 미국테크TOP10인버스(-10.43%) 등은 10% 이상의 하락률을 보이며 상위 하락권에 포진했습니다.
  • 대부분의 인버스 ETF는 레버리지 2배 구조를 갖고 있어, 기초지수가 반대로 움직일 경우 손실도 2배로 확대됩니다. 이번처럼 시장이 기대와 반대로 움직이면, 방어 목적 포트폴리오가 오히려 손실 확대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전 주에는 기술주 하락세로 인버스가 강세였지만, 불과 1주 만에 전세가 역전되었습니다. 이는 최근 ETF 시장이 단기 뉴스·실적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변동성이 심화되고 있다는 신호이며, 단기 추세 추종 투자에 주의가 필요함을 경고하고 있습니다.

일희일비보다 중요한 건 ‘전략적 대응’과 ‘중장기 관점’

2025년 4월 4주차 ETF 시장은 전주와 정반대의 흐름을 보였습니다. 지난주는 금, 방산, 인도 ETF가 상승을 주도하며 방어적 자산에 쏠림 현상이 나타났지만, 이번 주엔 기술주 반등과 함께 레버리지 ETF가 수익률 상위권을 휩쓸었습니다.

반대로 인버스 ETF는 큰 폭으로 하락하며 시장 변화의 파고를 고스란히 드러냈습니다. 이처럼 ETF는 거시경제, 실적 발표, 정책 발언 등에 실시간으로 반응하기 때문에 방향성 베팅보다 중요한 것은 포트폴리오의 균형과 리스크 관리입니다.

테마 로테이션이 생각보다 훨씬 빠르게 일어나기 때문에, 핵심은 한쪽에 집중하기보다는 다양한 섹터에 나눠 투자하고, 정기적으로 리밸런싱하는 전략입니다. ETF는 간편하지만 예측보다 대응이 더 중요한 상품입니다. 이번 주 시장은 그 교훈을 다시 한번 상기시키지 않았나 싶습니다.

단기 흐름에 과하게 반응하면, 고점에 추격 매수하고 저점에 손절매하는 전형적인 ‘반응형 투자자’가 되기 쉽습니다.

ETF는 구조상 특정 지수나 섹터에 연동되므로, 시장의 방향성보다는 나의 전략과 목표에 따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가 핵심입니다.
ETF로 수익을 꾸준히 쌓아가는 투자자라면, 시장에 휘둘리기보단 리밸런싱, 분산투자, 장기 관점으로 접근하는 게 어떨까요?

✅ 이번 주 인기글

Leave a Comment